-무라카미 하루키-
소문이란 그 나름대로 꽤 재미있는 것이다. 나는 교우 관계가 그다지 넓은 편이 아니라서- 정확하게 말하자면 좁다- 소문에 말려드는 일이 별로 없지만, 그래도 전혀 모르는 나에 대한 소문을 듣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요즘에는 고맙게도 그리 나쁜 소문은 들리지 않는다. "무라카미가 BMW를 산 것 같아" 라든가(살 리가 없다.), "무라카미는 매일 두부를 세 모나 부쳐 먹는대" 라든가(한 모밖에 안 먹는다.), 그 정도의 것들이다.
이해가 잘 안 가서 "어째서 내가 하루에 두부를 세 모씩 부쳐 먹어야만 한답니까?" 하고 상대방에게 물어보면, "아니, 잡지 인터뷰에서 그렇게 대답하지 않으셨어요?" 라고 묻는다. 잘 생각해 보니 확실히 그렇게 대답을 한 기억이 있다. 몇 번이고 인터뷰를 하다보면 질문이 거의 비슷해서 따분해지기 때문에 때때로 입에서 나오는 대로 함부로 대답해 버리게 된다. "좋아하는 거요? 두부부침이요. 하루에 세 모는 먹는 것 같네요." 하는 식이다.
BMW도 어딘가에서 농담으로 말했는지는 모르지만, 전혀 생각이 나지 않는다. 이런 식으로 세상을 깔보며 살다가는 언젠가 안 좋은 꼴을 당하지 싶다. 하여튼 내 인터뷰 기사는 너무 믿지 말고 적당히 읽어 주었으면 좋겠다. 때때로 내가 다시 읽어 봐도 아연실색하는 일이 있을 정도니까. 하기야 "연수입은?" 따위의 질문에 정직하게 대답하는 사람은 별로 없지 않을까?
그러나 그건 그렇다손 치고, 해가 없는 소문이란 즐겁다. 문단에도 여러가지 소문이 있어서, 가끔 편집자를 만나 "사실은요, 무라카미씨. 요전에 말이죠." 하고 하나 둘 문단의 소문을 들으면 "그런가, 그런 일도 있었나?" 하고 어느 정도 사회에 참여를 하는 듯한 기분이 된다. 그렇지만 그런 건 빙산의 일각과 같은 것으로, 신주쿠 골든 가에 어떤 얼음 기둥이 치솟았는지를 나로선 알 수가 없다.
펭귄 북스에서 나온 <루머> 라는 책이 있다. 미국에 퍼져 있는 다양한 소문이 진짜인지 헛소문인지를 가려낸 퍽 재미있는 책인데, 이것을 읽고 있으면 세상에는 실로 갖가지 소문이 있구나 하고 정말 감탄하게 된다.
예를 들면 "존 딜린저의 페니스는 너무 커서 스미소니언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라는 것은 헛소문이고, "아인슈타인의 뇌는 위치타의 의사가 병에 담아 보존하고 있다" 라는 건 사실이다. 아인슈타인은 사후에 자신의 뇌를 연구용으로 써달라는 말을 남기고 죽었는데, 그게 돌고돌다 위치타까지 흘러 들어가 병에 담긴 채 사이다 상자속에 처박혀 있다는 것이다.
"1943년에 주조된 1센트짜리 동전을 포드사에 가져 가면 새 차를 한대 준다." 라는 소문도 있는데, 이것은 유언비어다. 그러나 1943년의 1센트짜리 동전은 희귀해서 실제로 새 차 한대 정도의 값으로 흥정을 한다고 하니까 새빨간 거짓말이라고는 할 수 없다.
미국판 <<플레이보이>>지 표지 타이틀의 P자에 별이 몇 개 붙어 있는가가(1978년 이전의 <<플레이보이>>지를 가지고 계신 분들은 체크해 보십시오.), 바로 편집장 휴 헤프너가 그의 파트너와 그 달에 몇 번 섹스를 했는가를 나타내는 거라고 믿는 사람도 많았다. 그러나 이것은, 유감스럽지만 헛소문이다. <<플레이보이>>지는 지역별.용도별로 달리 편집되고 있었고, 별의 갯수는 그 표시였던 것이다.
문학에 관계된 것으로는 "토머스 빈천은 J.D셀린저의 필명"이라는 굉장한 소문이 있다. 이것은 진짜 완벽한 헛소문이다. 샐린저가 자택에 틀어박혀 있었고, 빈천이 사진을 발표하지 않고 사람들 앞에 나타나지 않은 탓에 그런 소문이 퍼지게 됐다. 이렇게 말하는 나도 남들이 모르는 필명을 두 개 정도 갖고 있지만 말이다.
"프랑스에서 제이 루이스는 채플린과 쌍벽을 이룰 만큼 대단한 평가를 받고 있다." 라는 소문은 사실이다. 그 이유는 알 수 없지만, 필시 프랑스인들이 와인을 너무 많이 마시기 때문일 거라고 저자는 쓰고 있다.
그리고 구리코 모리나가 사건을 보아도 알 수 있듯이 식품 관련회사는 근거 없는 유언비어의 희생양이 되기 쉽다. 예를 들면 맥도날드 햄버거에 들어있다고 소문이 났던 것만 해도, 고양이 고기, 캥거루 고기, 거미 알, 지렁이..... 등등 헤아릴 수 없을 정도다. 그래서 맥도날드 사는 광고를 할 때 항상 '100퍼센트 쇠고기'를 강조하는 것이다.
담배 회사인 체스터 필드사는 한때 "공장에 문둥병 환자가 발견됐다." 라는 소문에 휩쓸려 어려움을 겪었던 적이 있다. 회사는 탐정을 몇 명 고용해서 그 소문의 발생지에 가장 가까운 스물 다섯명 중 범인을 밝혀 내는 데 1000달러를 걸었지만, 어느 누구도 그 1000달러를 손에 넣을 수가 없었다. 엉킨 실타래를 풀듯이 어느 정도 소문의 전파 경로를 거슬러 올라갔지만, 좀처럼 발생지에는 이르지 못했던 것이다.
해가 되는 거짓말이란 대단히 무서운 것이다.
며칠 전 어떤 여성 편집자에게서 "무라카미 씨도 꽤 짓궂더군요. 너무해요." 하는 소리를 들어서 그 소문의 발생지를 캐어 보니, 아니나 다를까 안자이 미즈마루 씨였다. 곤란하다구요, 그런 짓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