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냐.. 날씨가 갑자기 이렇게 추워도 되는거냐..
(일기임을 나타내기 위한 한 줄)
요즘 충전지를 쓰는데가 무지 많다. 예전에는 기계를 좋아하는 남정네들의 세미고유영역이었지만- 지금은 핸드폰&디카 덕에 거의 전 국민이 쓰지 않나-
그런데, 옛날의 나쁜 지식이 만연해있어 오지랖- (오지ㄹㅏㄹ이 아니다!!) 넓은 짓 한번.
(특히!! 기계에서 잘못 아는 지식은 아예 모르는 것만 못하다..)
예전의 충전지는 대부분 니켈-카드뮴(이건 환경오염문제로 이젠 거의 특수한 데에서만 쓰인다.) 아니면 니켈-수소(Ni-MH)전지였다. 이런 니켈전지에서는 '완전충전 완전방전'을 하는 게 전지를 힘세고 오래가게- 사용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메모리이펙트라고 불리는- 충전하고 방전한 곳을 기억해서 그까지만 쓰이는 일이 발생했기 때문이지롱.
그런데 요즘 쓰이는 충전지는 대부분 리튬-이온(Li-ion)전지이다. (핸드폰은 거의 전부 다- 디카는 잘 모르겠음- 일단 소니디카는 리튬이온 쓰던데-)
이 리튬-이온 전지는 구조&성질상 메모리이펙트가 발생할 수가 없다!!(고 한다-)
그래서 완전충전 완전방전을 할 필요가 없을 뿐더러 오히려 잦은 완충완방은 배터리에 무리를 주어 전지 수명을 단축시킨다!!!(고 한다-)
고로 핸드폰 배터리를 두 개 가지고 다니면서 하나가 꺼질 때까지 쓰다가 다른 걸로 바꿔끼는 일이나, 나갈때 충전기에 꼽아두고 하루종일 두는 일 등은 충전지를 두번 죽이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나쁘다.
(완전방전이 좋다는 소리에 리튬-이온 전지를 완전 닳을 때까지 꺼져도 또 키고 꺼져도 또 키고 하는 건 완전 친구 마지막 부분의 장동건한테나 하는 짓-)
다만, 리튬이온 배터리의 단점인 '지나치게 충전을 하면 파열될 위험이 있고 순간적인 방전에도 약하며 지나친 방전을 하게 되면 배터리로써의 기능에 영향을 받는' 점을 없애기 위해서 리튬이온 배터리에는 반드시 충방전을 관리하는 마이크로 칩을 넣게 되는데,
주인님의 충,방전 스타일에 따라 저 마이크로 칩에 오차가 생겨 마치 메모리이펙트가 생긴 feel이 날 수 있기 때문에 가-끔 (몇 달에 한번) 정도는 완전충전 완전방전을 하는 게 좋단다.
그리고 완충완방이 좋지 않다고 시시때때로 충전기에 꼽았다 뺐다 하는 것도 대략 좋치 않다-
잦은 충-방전 사이클을 거치면 배터리의 수명은 점차 줄어든다고 하기 때문이다-
그럼 어쩌란 말이냐?? 이론상으로는 80% 충전하고 80% 방전하라는데;; (같은 커뮤니티에 있던 한 배터리 연구원말씀;;) 그게 도토리충전도 아니고-_- 눈에 안 보이니..
핸드폰이나 다른 기계나 대강 배터리 한칸 남으면 충전하고- 파란 불이 켜진 채로 너무 오래두지 않는 것이 좋겠다-
아니면.. 이렇게 신경쓰는 게 싫으면 그냥 막!! 쓰다가 좀 맛이 갔다 싶으면 하나 새로 사던지..;;
ps) 그런데, 니켈-수소 전지랑 리튬-이온 전지를 잘 살펴봐야 할껄??
예를 들어 핸드폰은 (내가 아는 한 모조리) 리튬-이온이지만 아직 CDP나 MD에서 쓰이는 일명 '껌전지'는 99% 니켈-수소. 그런데 소니MD N10이나 E10은 또 리튬-이온 전지를 쓰고..;;
참, 또하나. 니켈-수소 전지를 쓰는 기기의 설명서에 '메모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이라고 써 있는 것도 있는데, 그런 건 부속품인 충전기 자체에서 니켈-수소 전지를 완전방전시킨 후에야 충전시키는 기능이 있는 거다. 위의 말만 믿고 아직 많이 남은 전지를 충전시키면 충전기가 방전시키느라 겁나 뜨거워진다-_- (재수 옴붙으면 불난다..조심-)
ps2) 이건 기계에 관심 있는 사람들을 위해.. 부럽다.. 흑.
(md코리아에서 퍼왔는데 소니 쿠오 리어(QUALIA)라인을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가격 189,000엔은 오기(誤記)가 아닙니다."라는 친절한 설명이.. ㅠ.ㅠ mdp가 200만원.. @.@ )
SONY, QUALIA 브랜드 MDP 발표
2004-04-21 18:51:37
Q017-MD1
4월 24일 발매
표준 가격 : 189,000엔
연락처 : QUALIA 콜 카운터
Tel.0570-09-0099
Tel.0466-38-4920
소니는, QUALIA(쿠오 리어) 브랜드의 휴대용 MD플레이어 「Q017-MD1」를 4월 24일부터 수주한다.쿠오 리어 넘버는 017.가격은 189,000엔이 되고 있다.
Q017-MD1는, 「가지는 기쁨」을 느끼게 한다고 하는 고급 MD플레이어.소니의 물건 만들기 복권을 들인 소량소품종 브랜드 「QUALIA」의 신제품으로, QUALIA 도쿄, QUALIA 오사카에서 직판한다.납기는 최단에 5월 중순무렵이라고 볼 수 있다.생산 대수는 월 15대.베이스 모델은 2002년 11월 발매의 「MZ-E10」.
패키지에는 리모콘, 헤드폰, AC어댑터, 충전 스탠드, 헤드폰 어댑터, 리모콘용 넥 체인, 전용 케이스, 클리닝 크로스등을 동고 한다.
오더 메이드의 옵션 서비스로서 본체 커버 플레이트의 변경(골드 플레이트 또는 실버 플레이트), 나이리(스탠다드 또는 풀커스텀)를 선택할 수 있다.옵션의 개요와 가격은 다음과 같이.
옵션명 추가 요금 개요
골드 플레이트 73,500엔 본체의 커버 플레이트를 24금 도금 마무리의 골드 플레이트로 변경
실버 플레이트 73,500엔 본체의 커버 플레이트를 은도금에 로지움코딘그 마무리를 한 실버 플레이트로 변경
스탠다드 나이리 31,500엔 커버 플레이트 측면으로 이름, 이니셜등을 절삭기로 나이리하는
풀커스텀 나이리 52,500엔 커버 플레이트 측면으로 이름, 이니셜, 기호의 모양등을 절삭기로 나이리하는 놋쇠로부터 깎기 시작한 본체를 채용해, 연결고리나 틈새, 나사류등을 숨긴 고정밀도 가공이나, 페러디엄 도금을 실시했다.S자 곡선을 채용하는 등 「오브제와 같이 아름다운 외관을 실현했다」라고 하고 있다.
최대 외형 치수는 91.4×79×15.3(폭×깊이×높이), 중량은 244g(전지 포함한다).MZ-E10보다 189 g 무겁다.
또, OPEN 레버를 가볍게 눌러 내리면 본체가 열리는, 독자적인 기구를 탑재.게다가 외관을 해치지 않기 때문에, 집중 컨트롤 키를 채용했다.
밀폐 다이나믹형의 헤드폰은 신규에 디자인한 것으로, 하우징은 알루미늄으로부터 깎기 시작하고 있다.「여분의 반향을 저감 해, 립립 치노 좋은 고음과 풍부한 중저음을 실현한다」라고 한다.실리콘제 이어 피스가 부속.드라이버 유닛은 9 mm 지름으로, 헤드폰의 중량은 11g.
부속의 리모콘도 놋쇠 페러디엄 도금을 실시한 전용품.가나 한자 표시에 대응한다.헤드폰, 리모콘 모두 단품 판매는 행하지 않는다.
또, 헤드폰 앰프에는 독자적인 「HD디지털 앰프」를 채용했다.디지탈 신호로 증폭한 후, 마지막에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동사에서는 특징으로서 「해상도가 높은 음질」, 「낮은 노이즈 레벨」, 「성장이 있고태워소리」를 들고 있다.
그 다른 사양은 MZ-E10를 답습한다.MDLP의 재생에 대응해, 음정을 바꾸지 않고 재생 속도를 변화할 수 있는 「DPC(디지털 피치 컨트롤)」를 탑재.소리 나는 일 가이드 「G-PROTECTION」도 이용할 수 있다.전지 지속 시간은 SP스테레오 모드로 약 21시간, LP2로 약 27시간, LP4로 약 33시간.






(일기임을 나타내기 위한 한 줄)
요즘 충전지를 쓰는데가 무지 많다. 예전에는 기계를 좋아하는 남정네들의 세미고유영역이었지만- 지금은 핸드폰&디카 덕에 거의 전 국민이 쓰지 않나-
그런데, 옛날의 나쁜 지식이 만연해있어 오지랖- (오지ㄹㅏㄹ이 아니다!!) 넓은 짓 한번.
(특히!! 기계에서 잘못 아는 지식은 아예 모르는 것만 못하다..)
예전의 충전지는 대부분 니켈-카드뮴(이건 환경오염문제로 이젠 거의 특수한 데에서만 쓰인다.) 아니면 니켈-수소(Ni-MH)전지였다. 이런 니켈전지에서는 '완전충전 완전방전'을 하는 게 전지를 힘세고 오래가게- 사용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메모리이펙트라고 불리는- 충전하고 방전한 곳을 기억해서 그까지만 쓰이는 일이 발생했기 때문이지롱.
그런데 요즘 쓰이는 충전지는 대부분 리튬-이온(Li-ion)전지이다. (핸드폰은 거의 전부 다- 디카는 잘 모르겠음- 일단 소니디카는 리튬이온 쓰던데-)
이 리튬-이온 전지는 구조&성질상 메모리이펙트가 발생할 수가 없다!!(고 한다-)
그래서 완전충전 완전방전을 할 필요가 없을 뿐더러 오히려 잦은 완충완방은 배터리에 무리를 주어 전지 수명을 단축시킨다!!!(고 한다-)
고로 핸드폰 배터리를 두 개 가지고 다니면서 하나가 꺼질 때까지 쓰다가 다른 걸로 바꿔끼는 일이나, 나갈때 충전기에 꼽아두고 하루종일 두는 일 등은 충전지를 두번 죽이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나쁘다.
(완전방전이 좋다는 소리에 리튬-이온 전지를 완전 닳을 때까지 꺼져도 또 키고 꺼져도 또 키고 하는 건 완전 친구 마지막 부분의 장동건한테나 하는 짓-)
다만, 리튬이온 배터리의 단점인 '지나치게 충전을 하면 파열될 위험이 있고 순간적인 방전에도 약하며 지나친 방전을 하게 되면 배터리로써의 기능에 영향을 받는' 점을 없애기 위해서 리튬이온 배터리에는 반드시 충방전을 관리하는 마이크로 칩을 넣게 되는데,
주인님의 충,방전 스타일에 따라 저 마이크로 칩에 오차가 생겨 마치 메모리이펙트가 생긴 feel이 날 수 있기 때문에 가-끔 (몇 달에 한번) 정도는 완전충전 완전방전을 하는 게 좋단다.
그리고 완충완방이 좋지 않다고 시시때때로 충전기에 꼽았다 뺐다 하는 것도 대략 좋치 않다-
잦은 충-방전 사이클을 거치면 배터리의 수명은 점차 줄어든다고 하기 때문이다-
그럼 어쩌란 말이냐?? 이론상으로는 80% 충전하고 80% 방전하라는데;; (같은 커뮤니티에 있던 한 배터리 연구원말씀;;) 그게 도토리충전도 아니고-_- 눈에 안 보이니..
핸드폰이나 다른 기계나 대강 배터리 한칸 남으면 충전하고- 파란 불이 켜진 채로 너무 오래두지 않는 것이 좋겠다-
아니면.. 이렇게 신경쓰는 게 싫으면 그냥 막!! 쓰다가 좀 맛이 갔다 싶으면 하나 새로 사던지..;;
ps) 그런데, 니켈-수소 전지랑 리튬-이온 전지를 잘 살펴봐야 할껄??
예를 들어 핸드폰은 (내가 아는 한 모조리) 리튬-이온이지만 아직 CDP나 MD에서 쓰이는 일명 '껌전지'는 99% 니켈-수소. 그런데 소니MD N10이나 E10은 또 리튬-이온 전지를 쓰고..;;
참, 또하나. 니켈-수소 전지를 쓰는 기기의 설명서에 '메모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이라고 써 있는 것도 있는데, 그런 건 부속품인 충전기 자체에서 니켈-수소 전지를 완전방전시킨 후에야 충전시키는 기능이 있는 거다. 위의 말만 믿고 아직 많이 남은 전지를 충전시키면 충전기가 방전시키느라 겁나 뜨거워진다-_- (재수 옴붙으면 불난다..조심-)
ps2) 이건 기계에 관심 있는 사람들을 위해.. 부럽다.. 흑.
(md코리아에서 퍼왔는데 소니 쿠오 리어(QUALIA)라인을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가격 189,000엔은 오기(誤記)가 아닙니다."라는 친절한 설명이.. ㅠ.ㅠ mdp가 200만원.. @.@ )
SONY, QUALIA 브랜드 MDP 발표
2004-04-21 18:51:37
Q017-MD1
4월 24일 발매
표준 가격 : 189,000엔
연락처 : QUALIA 콜 카운터
Tel.0570-09-0099
Tel.0466-38-4920
소니는, QUALIA(쿠오 리어) 브랜드의 휴대용 MD플레이어 「Q017-MD1」를 4월 24일부터 수주한다.쿠오 리어 넘버는 017.가격은 189,000엔이 되고 있다.
Q017-MD1는, 「가지는 기쁨」을 느끼게 한다고 하는 고급 MD플레이어.소니의 물건 만들기 복권을 들인 소량소품종 브랜드 「QUALIA」의 신제품으로, QUALIA 도쿄, QUALIA 오사카에서 직판한다.납기는 최단에 5월 중순무렵이라고 볼 수 있다.생산 대수는 월 15대.베이스 모델은 2002년 11월 발매의 「MZ-E10」.
패키지에는 리모콘, 헤드폰, AC어댑터, 충전 스탠드, 헤드폰 어댑터, 리모콘용 넥 체인, 전용 케이스, 클리닝 크로스등을 동고 한다.
오더 메이드의 옵션 서비스로서 본체 커버 플레이트의 변경(골드 플레이트 또는 실버 플레이트), 나이리(스탠다드 또는 풀커스텀)를 선택할 수 있다.옵션의 개요와 가격은 다음과 같이.
옵션명 추가 요금 개요
골드 플레이트 73,500엔 본체의 커버 플레이트를 24금 도금 마무리의 골드 플레이트로 변경
실버 플레이트 73,500엔 본체의 커버 플레이트를 은도금에 로지움코딘그 마무리를 한 실버 플레이트로 변경
스탠다드 나이리 31,500엔 커버 플레이트 측면으로 이름, 이니셜등을 절삭기로 나이리하는
풀커스텀 나이리 52,500엔 커버 플레이트 측면으로 이름, 이니셜, 기호의 모양등을 절삭기로 나이리하는 놋쇠로부터 깎기 시작한 본체를 채용해, 연결고리나 틈새, 나사류등을 숨긴 고정밀도 가공이나, 페러디엄 도금을 실시했다.S자 곡선을 채용하는 등 「오브제와 같이 아름다운 외관을 실현했다」라고 하고 있다.
최대 외형 치수는 91.4×79×15.3(폭×깊이×높이), 중량은 244g(전지 포함한다).MZ-E10보다 189 g 무겁다.
또, OPEN 레버를 가볍게 눌러 내리면 본체가 열리는, 독자적인 기구를 탑재.게다가 외관을 해치지 않기 때문에, 집중 컨트롤 키를 채용했다.
밀폐 다이나믹형의 헤드폰은 신규에 디자인한 것으로, 하우징은 알루미늄으로부터 깎기 시작하고 있다.「여분의 반향을 저감 해, 립립 치노 좋은 고음과 풍부한 중저음을 실현한다」라고 한다.실리콘제 이어 피스가 부속.드라이버 유닛은 9 mm 지름으로, 헤드폰의 중량은 11g.
부속의 리모콘도 놋쇠 페러디엄 도금을 실시한 전용품.가나 한자 표시에 대응한다.헤드폰, 리모콘 모두 단품 판매는 행하지 않는다.
또, 헤드폰 앰프에는 독자적인 「HD디지털 앰프」를 채용했다.디지탈 신호로 증폭한 후, 마지막에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동사에서는 특징으로서 「해상도가 높은 음질」, 「낮은 노이즈 레벨」, 「성장이 있고태워소리」를 들고 있다.
그 다른 사양은 MZ-E10를 답습한다.MDLP의 재생에 대응해, 음정을 바꾸지 않고 재생 속도를 변화할 수 있는 「DPC(디지털 피치 컨트롤)」를 탑재.소리 나는 일 가이드 「G-PROTECTION」도 이용할 수 있다.전지 지속 시간은 SP스테레오 모드로 약 21시간, LP2로 약 27시간, LP4로 약 33시간.





